엽산제

엽산은 임산부가 필수로 먹어야 하는 요소로 많이들 알고 있다. 

그리고 천연엽산합성엽산 둘 중에 무엇을 먹어야 하나도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다.

두 가지의 차이는 구조 차이이다. 천연엽산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분자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당연히 식물을 통해서 섭취 가능하다.

다만, 흡수가 합성엽산이 더 빠르고 안전하다는 이야기 함께 있어서

아직도 논란 중인 이야기 이다. 

 

되도록 영양제 보다는 음식을 통해서 엽산 보충을 하는게 좋으며, 

비타민B와 함께 먹는 걸 추천한다. 

 

엽산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이 있다. 

고용량 엽산이 필요한 엽산 결핍증의 경우에는 엽산제가 필요하지만

임산부는 식이요법으로도 충분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엽산의 효과

엽산은 태아 신경관 결손 예방에 효과적이다. 

신경관결손이란, 임신초 태아 발달 과정에서 신경관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뇌나 척수에 기형이 생겨 무뇌아나 이분척주증이 나타나는 선천성 기형을 말한다. 

(발생빈도 : 임산부 1000명당 1명)

 

엽산 복용시, 태아 기형을 막을 수 있다. 

 

엽산 복용시기

임신 2~3개월 전이나, 최소 임신 1개월 전부터 엽산제를 복용해야 한다. 

 

엽산 임산부 권장량

엽산 하루 권장량은 0.4mg 이상 이다.

보통 영양제 패키지에 '엽산 400' 이라고 표현되어 있는데 

이것은 400마이크로 그램으로. 0.4mg 과 같은 용량이다. 

 

엽산 과다복용 주의 사항

보통 임산부 종합영양제와 단일 엽산제를 동시에 복용할 경우

엽산 과다복용이 일어나지 않을까 걱정한다. 

임산부 종합영양제의 경우 통상적으로 엽산이 0.6mg 들어 있고,

단일 엽산제의 경우 0.4mg 이 들어 있어 이 것을 합산하면 1g의 엽산을 하루에 복용하게 되는 것인데

 

엽산은 비타민B군 수용성 비타민으로 

체내에 축적되지 않고 배출 되기에 과다 복용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보건소에 임산부 등록 시, 임신일부터 3개월까지 엽산을 지급해 줍니다.

 

엽산이 많은 음식

엽산은 녹색 잎을 가진 채소, 오렌지, 바나나, 쌀, 해조류, 조개 등을 통해 섭취할 수 있으며,

되도록이면 식이요법으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